2012년 4월 26일 목요일

착한사람이 되라

"착한 사람이 되라"하기 전에
먼저 그 만큼 내가 착해져야한다.

해리현상 : 정신적 신경생물학적 보호 매커니즘이다

"대형교통사고를 당하고 몇년뒤 외상 후 스트레스장애가 생긴 위의 환자는 치료를 받으면서 사고 당시 일어난 중요한 체험에 대해서 이야기해주었다. 환자는 당시 두 차량이 충돌한뒤 얼마동안 의식을 잃었고 의식을 다시 찾았을때는 자신의 몸과 의식이 분리되어 있었다. 마치 모든 상황을 몸 밖에서 체험하는 듯했다. 환자는 공중에 붕 뜬 느낌으로 주위에 선 사람들에게 다가가서 무슨일이 일어났는지 물었다.
이런현상은 사람이 어떤 방법으로도 더 이상 견딜 수 없고 정신적으로 참을 수 없는 상황에서 나타나는 전형적인 반응이다. 실제 견딜수 없는 상황에서 벗어나기 위해서 자신에게서 이탈하는 현상을 해리(dissociation)라고 부른다."

" 해리는 정신적 신경생물학적 보호 매커니즘이다. 해리의 목적은 정신적, 육체적 고통을 감소하거나 제거하는데 있다. 해리의 정신적, 생물학적 생성방식에 대해서 제기된 지식들은 최근에 들어서야 밝혀지기 시작한것들이다."

" 해리현상은 트라우마의 경험에 관계없이 일상에서도 약하게 나타날수 있다. 정신적관점에서 볼때 해리는 현재의 상태에서 이탈하기, 정체성과 거리두기, 일종의 자기 부재다. 건강한 사람에게도 관찰할수 있는 가벼운 형태의 해리는 바로 깨어있는 상태에서 꾸는 백일몽이다. 이럴때 우리는 '존재하지 않는다.' 다른 사람이 부르는 소리를 듣지 못한다. 무슨일을 했지만 그 일이 어떻게 일어났는지 알지 못한다.
정도가 심한 해리의 경우는 낯설거나 '마비된듯한' 느낌이 드는 경우를 들수 있다. 이럴경우 상황이나 육체를 잘 인식하지 못한다. 이른바 '탈현실화' 혹은 '탈인격화의 느낌이다.
건강한 사람도 때로 이런 느낌을 경험한다. 특히 지나치게 피곤하거나 너무 큰 부담을 느낄때 그런 경우가 찾아온다. "

" 해리는 일반적으로 불안과 결부된 신호에 의해서 유발된다. 이 신호는 제삼자에 의해서는 종종 지각될수 없다. "

" 트라우마를 경험하는 순간 엔도르핀이 뇌에서 마비시키는 것은 '객관적'통증 신호가 아니라 감정의 관여부분이다. 감정의 관여가 마비되고 의식이 현실에서 이탈하는 현상은 해리성 장애에 시달리는 사람에게서도 발견할수 있다. 환자는 자신의 몸과 분리된 느낌이 든다. 트라우마 상황에서는 이것이 '마지막 구원'인 셈이다. 여기서 해리는 견딜수 없는 상태에서 살아 남도록 '도와주는' 셈이다."

요하임 바우어의 '몸의기억' 중의 해리에 관한 부분이다.

2012년 4월 19일 목요일

우울증을 향해 방향을 튼다. / 너는 용납되었다

'너는 이러이러 해야한다.' 라고 말할때 말하는 사람의 상황에서 그렇게 말하는 것이다.
각자의 상황은 다 다르다.
부모가 자식에서 '너는 이러이러해야 한다'라고 강하게 말할때, 자식은 드러나지 못한다.
부모의 '이러이러해야 한다'라는 무게에 눌러 자신은 드러 나지 못한다.
왜곡되어져 자라게 된다.

사회의 강력한 논리가 개인을 누를때 사회속의 개인은 자신을 드러낼수 없다.

자신을 드러내지 못하고 살아 가는 개인은 우울증에 걸릴 확률이 높다.

세상은 정보와 되어 엄청나게 연결되어 있다. 누군가의 잘못이 바로 인터넷을 타고 휴대폰을 타고, 세상에 드러난다. 엄청난 비난이 빛발친다.
각 개인들은 비난을 하면서도 그게 내가 될수 있다라고 조심한다.
개인의 강력한 논리는 그 개인의 무의식을 누른다.
비도덕적인 타인을 비난하면서 비난의 대상이 자신이 될수 있다는 엄청한 두려움도 같이 느낀다. 그 느낌은 드러 나지 않고, 무의식에 존재한다.
세상에 드러내는 것은 자신이 아니라 '이러이러해야 한다.'라는 사회의 강력한 규범만을 드러 낼수 있다.

스스로를 스스로 가둔다. 사회속에 개인은 드러날수 없으므로 왜곡된다.
이러이러해야 한다는 생각이 강한 부모일수록 자식의 실수를 용납하지 못하는 수가 많다.
자식의 입장에서 용납되어 지지 못할수 있다라는 생각은 자식의 불안을 만들어 낸다.

세상이 개인의 실수를 용납하지 못한다는 느낌은 개인들을 불안하게 만들어 간다.
불안한 개인들... 그중 마음의 순수하고 약한 사람들은 우울증을 향해 방향을 튼다.

"너는 용납되었다. "
누군가 이렇게 말할때, 온전해 질수 있다라는 생각이 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