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규모 농업용 점적관수 시스템을 만들면서 테스트를 하고 있다.
만드는 것은 간단하다.
그런데 간단하지 않은게 있다.
'얼마나 자주, 얼마나 많은 물을 주어야 하는가.'
Irrigation Water management이 농업의 하나의 부분이다. (시간이 나면...저녁에는 이론적 부분을 찾아 보고 있다)
하루의 필요한 물의 양을 산출하는 공식이 있다.
WR(Liters per day/ 하루에 필요한 물의양 ) = ET x Kc x Cp x Area
ET = 증발산양 (광합성에시 기공을 통해서 빠저나가는 양 + 토양면으로 부터의 증발)
Kc = 작물 변수
Cp = 식물잎에 지역이 덮혀있는 것.
Area = 지역적 요소
네덜란드에서는 토마토에 물을 줄 때 그날의 날씨에 따라서 물주는 양을 달리한다고 한다.
날씨에 따라서 증발산양이 달라지므로.. 물주는 양도 달라진다.
생각보다 물을 주는게 과학적접근이 많이 되고 있다.
식물의 필수 영양소의 대부분은 수소6%, 탄소 45%, 산소 45%, 질소1.5%, 칼륨 1%, 칼슘 0.5% 등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수소와 산소는 물에 의해 공급받는다. (산소의 경우 뿌리호흡에 의해서 얻기도 한다)
50%이상이 물에 의존한다.
물을 적게 주면... 마르고..
너무 적게 주면 식물 조직의 손상이 발생해서(permanent Wilting Point)... 다시 원래대로 돌아 오지 않는다. 국내 자료는 너무 부족하기 때문에... 원서를 보려면...농업용어를 알아야 하는데... 단어를 찾는데 생각보다 시간이 많이 걸린다. )
더 적게 주면.. 죽는다.
물을 많이 주면..뿌리가 발달하지 못하고, 뿌리가 발달하지 못하면... 영양을 제대로 식물에 공급하지 못한다. 그리고 뿌리에 병이 오기 쉽다.
더 많이 주면(흙 속의 공기가 물로 인해서 없어지기 시작한다)... 뿌리가 숨을 쉬지 못하고...
더 많이 주면...흙속에 공기가 없어 숨을 쉬지 못해 뿌리가 죽는다.
물을 많이 줘도 말라 죽고... 물을 적게 줘도 말라 죽는 경우가 생긴다.
물을 많이 줘서 말라 죽는 것은.. 뿌리가 상해서.. 물을 못 빨아 올리고.. 결국. 잎이 마르게 된다.
물의 공급은 작물의 생산량과도 관련이 있고, 병충해 와도 관련이 있다.
물을 얼마나 줄 것인가.
예전에 물 주기를 배우려면.. 3년이 걸린다고 들은것 같다. 그 만큼 어려운 것 같다.
다시 점적 관수로 돌아와서...
적정한 물의 양을 알아서.. 점적관수 시스템을 만들면... 생산량이 늘어나도.. 병충해, 잡초관리도 수월해진다. 그 물의 양을 알기기 가장 어렵고... 소규모 농업을 하는 각자가... 자신이 토양과 기후와 작물에 따라서. 시행착오를 거치면서.. 터득해야 하는것은 아닌가 하는 생각이 든다.
내가 가진 신념이라는 것들은 가끔 실제와 부딪히면 .. 포기 해야 할때도 발생한다.
왜냐하면 잘못 알고 있었기 때문이고, 경험이 없었기 때문이다.
신념만으로 세상을 바라보면... 실제를 왜곡하는 경우가 생긴다.
있는 그대로 바라보기.. 그게 어렵다.
정신분석에서 있는 그대로 보는게 제일 중요하다고 한다.
유기농에 대한 내가 가진 생각
관행농(비료와 농약을 쓰는 농업)에 대해서 내가 가진 생각.
과학적 농업에 대해서.. 내가 가진 생각...
자연재배에 대해서 내가 가진 생각...
내가 옳다고 하는 생각들을 내려 놓고... 실제로 해보고 느껴야 겠다.
그리고 느껴가고 있다.
농업은 생각보다 지식산업이다.
여기에 적응해 나가자..
댓글 없음: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