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산 정약용은 귀양을 간다.
폐족은 절망이다. 어찌보면 아무것도 할수 없다.
그러나 절망은 내가 절망할때 절망이다.
모든 사람들이 다 절망이라고 해도 내가 절망하지 않으면 절망이 아니라 내일을 위한 시련이다. 정약용은 편지에서 이렇게 말하는 것처럼 들린다.
이제 폐족이 되어 살아가야 하는 자식들에게 편지를 보낸다.
폐족으로서 어떻게 살아가야 하는가. 그의 편지글중 일부는 적어보았다.
"청족(깨끗하고 이름있는 선비집안)으로 있을때는 비록 글을 잘하지 못해도 혼인도 할수 있고 군역도 면할수 있지만 폐족으로서 글까지 못한다면 어떻게 되겠느냐?
글 하는 일이 그렇게 중요하지 않다고 할수 있을지 몰라도 배우지 않고 예절을 모른다면 새나 짐승과 하등 다를 바 있겠느냐?
폐족 가운데서 왕왕 기재가 많은데 이것은 다른 이유가 아니고 과거 공부에 얽매이지 않기 때문이다.
그러니 과거에 응할수 없게 됐다고 해서 스스로 꺼리지 말고 경전 읽는 일에 온 마음을 기울여 글 읽는 사람의 종자까지 따라서 끊기게 되는 일은 없기를 간절히 바라고 바란다. "
"이 늙은 아비가 세상살이를 오래 경험하였고 또 어렵고 험난한 일을 고루 겪어보아서 사람들의 심리를 두루 알게 되었는데, 무릇 천륜(天倫 )에 야박한 사람은 가까이 해서는 안되고 믿을수도 없다.
비록 충성스럽고 인정 있고 부지런하고 민첩하여 온정성을 다하여 나를 섬겨 주더라도 절대로 가까이해서는 안된다. 이들은 은혜를 배반하고 의를 잊어먹고 하루 아침에는 따뜻이 대해 주다가도 저녁에는 차갑게 대해주고 만다.
대개 온 세상에서 깊은 은혜와 두터운 의리는 부모 형제보다 더 두터운 것이 없는데 그들이 부모형제를 그처럼 가볍게 버리는데 벗들에게 어떠하리라는 것은 쉽게 알수 있는 이치다.
너희는 이점을 반드시 기억해 두도록 하라."
" 무릇 부하고 귀한 권세 있는 집안은 눈썹을 태울 정도의 급박한 재난을 당하여도 느긋하게 걱정없이 지내지만, 재난당할 것을 두려워하여 먼 시골 깊은 산속으로 몰락하여 버림받는 집안이야 겉으로는 태평이 넘쳐흐르는 듯하지만 마음속에는 항상 근심을 못 떨치고 살아간다고 말한다.
그 이유를 살펴보면 그늘진 벼랑 깊숙한 골짜기에는 햇볕을 볼 수 없고, 함께 어울려 지내는 사람은 모두 버림받은 쓸모없는 사람으로 원망하는 마음만 가득찬 사람들이기 때문에 그들이 가진 견문이란 실속없고 비루한 이야기뿐이다.
진정으로 바라노니, 너희들은 항상 심기를 화평하게 하여 벼슬길에 있는 사람과 다르게 생활해서는 안된다. ...
천리는 돌고 도는 것이니 한번 넘어진 사람이 반드시 다시 일어나지 못하는 것은 아니다. 만약 하루 아침의 분노를 이기지 못하여 서둘러 먼 시골로 이사가 버린다면 무식하고 천한 백성으로 일생을 끝마치고 말 뿐이다."
- 유배지에서 보낸 편지 ; 박석무 편역 -
댓글 없음: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