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1년 1월 30일 일요일

잠에 오지 않는것에 대한 변화된 생각

잠이 오지 않는다는 것은 무엇에 대한 어떠한 증상 인것 같다.
몸이 아프다 던지, 다리가 떨린다던지, 주위가 시끄럽다던지 하는 요소가 있으면 잠이 잘안오기도 한다.
그리고 내가 느끼는 감정 - 분노, 불안, 슬픔-의 증상으로서 잠이 안오기도 한다.

잠이 안오는 원인이 외부적인 경우 분위기를 바꾼다던지, 치료를 받아서 원인을 제거하면 잠이 잘올수 있을것 같다.

그러나 원인이 내부적인 것인 경우, 감정에 관련된 것인 경우, 불면에서 빠져 나오기기 힘이 드는것 같다. 감정은 전염성이 강해서 어떤 하나의 불안 때문에 잠이 안오기 시작하면 그 감정이 다른 감정들을 건드리고 그 감정들은 다른 감정들을 자극해서 잠에 대한 불안감으로 빠져 들게 하는것 같다.
잠이 오지 않는 원인이 잠에 대한 불안 때문에 잠이 오지 않는다고 생각으로 잘못 귀결되는것 같다.

생각이란 통제할수 있을것 같으면서도 통제하기 가장 어려운것 같다.
마음속 깊은 곳에서 불쑥올라 오는 불안을 통제 할수 있다면, 잠도 안오지는 않을 것 같다는 생각이 든다. 반대로 어떤 생각을 하지 않으려고 노력 할수로, 불안의 강도를 키우는 역효과도 오는것 같다.

잠이 오지 않으면 잠이 오지 않는다는 생각에서 탈피하려고 노력 할것 같다.
그러나 생각을 누르면 부작용이 커지듯이 그것은 불면의 강도를 높이는것 같다.

느리지만 불면에서 빠져 나오는 방법은 내가 처음 잠을 못잘을때 그 이유에 대해서 알아 봐아 할것 같다. 그리고 그 감정이 원인이 되어서 어떻게 다른 감정에 영향을 키치면서 변화해 왔는 가를 조용히 생각해보아야 할것 같다.
불면증이 마음에서 왔다고 느껴지면 잠을 자려고 누웠을때 느껴지는 감정(불안,초조, 긴장, 분노, 흥분 등등...)에 대해서 조용히 관찰을 해보아야 할것 같다. 그리고 그 원인의 근본으로 조용히 거슬러 올라가 보아야 할것 같다.
불면이 오래 되었다면 그만큼 숙면으로 돌아 기는 시간이 걸릴것 같다.
감정이 쌓여 잠이 오지 않으면, 쌓인 감정을 빨리 풀어야 잠을 잘잘수 있을것 같다.

뇌는 뉴런들이 연결되어 되어 어떤 패턴들이 만들어져 있느데, 형성된 패턴들이 지도첨럼 되어 있어 우리가 쉽게 반응하고 살아 가도록 각개인 마다 다르게 형성되어 있을것 같다 . - 사람이 살아가면서 문화나 경험을 통해서 그렇게 만들어 가는것같기도 하다. -
잠을 하루 못자면 잠에 대해 반응한는 뉴런들의 결합이 변화를 하게 되고, 잠을 못잘수록 잠을 못자는 패턴이 고정화 되어 진다고 행각된다.
우리가 레몬을 보면 자동적으로 침이 나온다. 뇌의 뉴런들이 그런 패턴으로 연결되어 있어서 우리 몸이 그렇게 반응하는 것같다.
잠에 대해서 잠과 불안의 패턴이 형성되면, 잠에 대해서 생각만 해도 불안이 올라오는 패턴이 되어 버리는것은 아닐까 생각된다.
그 패턴을 깨야 하는데, 그방법을 스스로 알고 있을것 같다.
우리가 대면하기 싫은 불안이나 근심일수 있기 때문인것 같기도 하고...

잠에 대해서 생가해보다가 앞으로 동양적인 사고가 세상에 주류가 될것 같다는 생각이 든다.
과학이 정확하고 문명의 발전에 많은 기여를 했고, 하고 있고, 할것 이지만, 나의 문제에 대해서는 해결해주고 있지 못하고 있는것 같다.
잠의 문제에서 수면제가 오늘 잠을 자게 할수는 있지만, 장기적으로 잠이 오도록은 못해줄것 같다.
마음이 편안해 지는것은 오늘 잠이 오고, 내일도 잠이 오고, 쭉 잠을 잘 오도록 해줄것 같다.

2011년 1월 3일 월요일

다마지오의 이론을 통한 잠자는 방법

다마지오의 이론에 의하면,
자극-> 정서-> 느낌 -> 신체반응 이런 순서로 만들어 진다고 한다 (내가 이해한 수준에서)

외부의 자극은 정서를 만들고 정서는 느낌을 만들고, 그 느낌은 신체 반응을 만들어 낸다.
다시 신체 반응은 자극으로 다가오고 자극이 정서로 느낌으로 신체반응으로 재생산 되어진다.

외부의 자극은 시각정보, 청각,촉각, 생각 등을 포함한다.
학교다닐때 선생님이 지금부터 10분후에 질문을 하겠다고 말하고 틀리면 한대 맞는 다고 하면, 그러한 정보는 학생에게 두려움 혹은 긴장감을 가지게 하는 정서를 만들고, 그 정서는 어떤 느낌을 만들어 낸다. 학생에 따라서 준비가 잘되어 있는 학생이나, 완전히 포기한 학생은 그러한 자극이 다른 정서를 만들어 내고, 다른 느낌이 들수 있게 할수 있을것이다.
그느낌에 따라서 신체는 심장이 빨리 뛴다던가, 동공이 확대 혹은 축소, 혈관이 넓어 지거나 좁아지거나 하는 등의 신체 반응이 나타날수 있다.
이러한 신체반응은 다시 자극이 되고 정서와 느낌을 만들어 낸다. 그러면 더욱 빨리 가슴이 드근거리 던가 하는 반응이 일어 난다.

이것을 잠에 대해서 연관 시켜보면(잠이 잘 안오는 사람의 경우)
잠자리에 누워있는데 잠에 대해서 생각을 한다. 그러면 잠을 잘 자지 못하는 사람의 경우 두려움의 정서가 다가 올수 있다고 여겨진다. 그러면 그 정서는 잠을 자지 못할수 도 있겠거니 하는 불안한 느낌이 다가온다. 불안한 느낌은 자동적으로 가슴이 가깝하게 한다거나, 발끝이 찝찝하게 한다거나. 나의 말초신경들이 긴장상태에 빠지게 해서 작은 자극에도 반응하도록 만들수 있을 것 같다.
그리고 그러한 자극은 다시 두려움의 정서를 강화시키고, 느낌을 자극하고, 몸의 반응을 촉진 시킨다.

출근을 해서 갑가지 쓰려고 하니까. 말이 두죽 박죽 되고 있다.

인위적으로 정서를 변경하기는 어려운것 같다.
일단 어떤 정서 속으로 빠져들면, 선글라스를 끼는 것과 같아서 그 색속에서 다른 사물이 인식되기 때문인데, 외부작극을 인위로 변경을 가하면, 잠을 좀더 잘 잘수 있다고 여겨진다.

잠을 자려고 할때 방해하는 자극이 외부적인것인 '하지불안증후군'과 같은 물리적인 경우는 그 치료을 해야 할것 같다. - 사실 나는 하지불안 증후군이 뭔지는 모른다.-

그러나 내가 마음에서 만들어는 불안이 자극일 경우는 숨쉬기 방법을 조금 바꾸면, 잠을 빠져 들수 있지 않을까 생각이 든다.
천천히 코로 숨을 들이마시고, 다시 천천히 입으로 숨을 내쉰다.
코로 숨을 들여 마실때는 " 감사" 그리고  입으로 숨을 내쉴때는 " 합니다."
라는 생각을 한다. 다른 문구를 생각하면 될것 같다.
이것을 10번이상하면서 생각을 숨이 들어 오는것과 숨이 나가는것 그리고 문구에 집중한다.
이렇게 하면 일단 내마음에 나타나는 생각을 끊어 내는 낼수 있고, 그러면 정서가 조금씩 바뀌어 진고, 느낌이 긍정적으로 변하고 신체반응이 긴장단계에서 이완으로 변해 가는것 같다.

하나 단점을 숨쉬기를 10번할때 까지 귀찮아 질수도 있고, 다른 생각이나 자극들이 들어 올수도 있는데 최대한 숨쉬을 쉬면서 자기가 만든 문구에 집중한다.
문구는 자신이 가장 편안하게 생각하는 것으로 하면 된다.

이렇게 해서 잠이 오지 않을수도 있을것 같은데, 일단 몸을 이완시키고 나면, 잠에 대한 불안 감을 조금 떨쳐낼수 있을것 같다.

숨쉬기가 중요한것은 이차 호흡을 통해서 뇌로 충분한 산소를 공급을 해 주면 마음이 상쾌해질수있다.

어제 잠이 안와서 이렇게 한 30번 정도 하고 나니까. - 30번 하기 까지 처음에는 귀찮고 집중이 안되었는데- 마음이 조금 편해지고 깊이 잠을 잤다.

아침에 생각이 나서 출근하자 만자. 이걸 쓰고 있으니까. 뒤죽박죽 이다.
저녁에 다시 읽어 보고 수정을 해야 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