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1년 7월 14일 목요일

우리의 껍데기만 대우를 받는다

지긋 지긋한 장마로 인해 새상이 눅눅해 졋다.
마음도 점점 눅눅해져 간다.

하루에 몇번씩은 '감사합니다''고맙습니다' 이런 말들을 한다.
'감사합니다' 라고 한다고 해서 마음속 깊이 감사하는 것은 아닌데, 그냥 자연스럽게 나온다.
나에게는 어떤때는 감사합니다, 고맙습니다. 라는 말을 해야 한다고 내머리 속에 입력을 해놓고 있는듯 하다. 그렇게 하지 않은면 안되는 것 같아서 매너를 하고 있는 샘이다.

내가 고맙다는 생각이 들때만 고맙다고 해야 하는 것인가. 아니면 사회가 이런 경우 고맙다고 해야 한다고 정해 져있을때, 그 순간에 고맙다고 해야 하는 것인가.
나는 후자를 따르고 있다. 사회가 정해놓은 데로, 그렇게 하지 않으면 예의 바른 사람이 아니라고 정해 놓고 있기 때문에 고맙다고 말을 하고 있는 것은 아닐까.

TV에서는 많은 정치인들이 연예인들이 '고맙다'거나 '감사하다'고 말을한다.
사회가 정해 놓은 데로 '이런 경우에 고맙다고 해야 한다' 라는 규칙을 잘지키는 사람들이 좋은 사람으로 보인다. 어떻게 보면 매너의 규칙을 잘 알고 있는 사람들이 사람구실을 하고 있는 듯이 보인다.
'안다'는 지식의 영역인데, 매너의 규칙을 잘아는 사람이 좋은 사람으로 보인다.
지식은 학력이 높은 사람이 아무래도 많을것 같다.
학력이 높고 사회의 규칙을 잘 아는 사람이 아무래도 좋은 사람으로 보일수 있는 개연성이 많을수도 있겠다라는 생각이 든다.

생활에 시달리거나 하루 하루가 힘든 사람들은 매너의 규칙을 습득할 시간이 많지 않을수 있다.
그들의 말들이나 행동들은 매너를 하지 못할수 있다.
삶이 투박해서 감사하는 생각이 들때만 "감사합니다" 라고 말하는 사람이 있다고 치자.
사회가 어떤 경우 '감사합니다' 라고 해야 하는 때에 그가 '감사합니다' 라고 말하지 않았다고 그의 본질이 변하는 것은 아닐것 같다.

세상은 자신의 본질을 숨기고, 매너를 해야 하는 구조로 변해 가고 있는것 같다.
이 구조 속에서는 우리의 본질과 우리가 해야 하는 것 사이이의 틈이 벌어 진다.
본질은 홀로 설수 없다. 본질과 매너의 틈이 벌어 진다. 우리의 본질이 소외된다.
우리는 우리의 본질을 잊어야지만 편하게살수 있다.
우리 자신이 드러나면 안되는 구조, 이구조에서는 우리의 껍데기만 대우를 받는다.
소외가 불안을 만들어 낸다.

감사합니다 라는 말로 또 헛소리를 하고 있다.

누가 이 글을 읽어 주실지 몰라도 '감사합니다'
이 '감사합니다'도 매너 인가?

2011년 7월 1일 금요일

마음에서는 많은 일들이 일어난다

세상에는 많은 일들이 일어난다.
하나는 바깥 세상에서 일어나고, 하나는 안쪽세상에서 일어난다.
바깥세상이라는 것은 내가 바라보는 물질의 세상이고, 안쪽세상이라는 것은 내 마음 안의 세상이다.
어찌보면 바깥세상에서 일어 나는 일들은 내가 통제할수 없는 영역이지만 내 안에서 일어 나는 일들은 통제가능한 것이라고 여겨지기도 한다.
그러나 바깥세상에서 일어난 일도 일정부분 나에의해 통제 되기도 하고, 내안에서 일어나는 일도 통제되지 않기도한다.

바깥세상에서 일어나는 일들은 객관적 일들이다. 그러나 그러한 바깥쪽 일들이 나에게 다가올때 안쪽영역에 영향을 미친다. 바깥 세상을 해석하는 것은 나의 안쪽 세상의 영역이다.
동일한 뉴스를 보고도 각자 다르게 반응하는 것은 안쪽 세상에서는 다르게 받아 들여 지기 때문일것이다.

안쪽 세상/ 마음에서는 많은 일들이 일어난다.
꿈도 꾸고, 잡생각도 하고, 불안이 밀려 오기도 하고, 대부분 우리의 통제를 벋어나서 일어 난다.
우리가 통제 하고 있다고 생각하는 것은 우리가 통제하고 있다고 생각하는 그 생각뿐, 나머지는 통제되어 있지 못하다.
안쪽세상에서 일어나는 일들중에서 우리가 생각해서는 안되는 것들이 올라 오기도 한다.
그냥 올라와서 지나간다면 문제가 없는 일들이다. 그러나 그 올라오는 것이 사회적 금기일때 우리들의 죄책감을 유발하기도 해서 그 것을 숨겨야 할 필요성을 느끼기도 한다.
숨길 필요성, 들켜서는 안되는 것, 이런 것들이 우리가 다른 사람과 관계를 함에 있어서 걸림돌이 될수도 있다는 생각이 불안을 유발한다.
- 사람은 관계를 통해서 사회를 살아 간다. 홀로 된다는것 버림받는다는것 어찌보면 이것이 가장 인간에게 위기감을 주는 것인지도 모르겠다. -

너무 순수해지려고 한다면 문제가 생긴다.  우울증 강박증 대인기피증 이러한 것들도 마음이 순수한 사람들에게 많이 발생한다고 한다. 마음에서 일어나는 일들중에 우리가 죄책감을 느끼는 것은 마음이 순수해야지만 가능한것이다.

인간은 살아 가면서 죄를 지을수 밖에 없다. 완벽하게 도덕적으로는 살아 갈수 없다.
내가 누군가를 용서 할수 없다면, 나또한 누군가에게서 용서 받을수 없을수 있다 라는 등식이 무의식 깊숙히 새겨진게 된다.

인간은 죄를 지을수 밖에 없다(도덕적으로 완결해 질수는 없다.)라는 실존 상황에 놓여져 있다.  

마음에서 발생하는 사태(생각)들이 금기적인 것이고, 마음이 순수하지만 위의 등식을 가진 사람의 경우라면, 내면적 갈증은 증폭할수 있을것 같다.
이러한 증폭은 마음의 병을 유발할수 있다.

마음이 병이 발생하는 많은 요인이 있겠지만, 너무 순수해지려고 하는 것도 마음이 병의 하나의 요인일수 있다라는 생각이 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