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3년 4월 30일 화요일

우울증과 가족 / 긍정적인 감정의 효과

어떤 사람이 우울증 진단을 받았을때, 아마 상당기간 우울증을 앓아 왔었는데 '그것이 우울증이다 라는 것'을 확인한것일 가능성이 높다.
즉 상당기간 고통을 느끼다 도저히 견딜수 없어서(그것이 가족이든 본인이든) 병원에 가서 그것이 우울증이다 라는 것을 안것이라고 보아야 할것 같다.

그것이 우울증이다 라는 것을 확인할때 까지 그 주위사람들은 우울증을 가진 사람으로 대한것이 아니라 '성격이 이상한, 혹은 예민한, 부정적인, 화가 많은' 사람으로 대했을 가능성이 높을 것 같다. 그러한 성격에 대한 대처로서 무시, 설득, 강제 등의 방법을 사용했을수 있을것 같다. 이러한 대처가 소용이 없에 됨을 알았을때 병원으로 갔을 것이고, 우울증인지를 알았을 것이다.

최초의 우울증의 시작에서 우울증인지 알았을때의 간격이 넓을수도 있고, 좁을 수도있다.
그러나 일반적으로 그 간격은 꽤 될것 같다.

그 간격에서의 대응이 긍정적으로 작용했다면 우울증의 진단이 없엇을 것이다.
그러나 우울증 진단을 받았다라는 것은 그 사이의 일반적인 대처가 실패했다는 것이다.
그 실패로인해 파생하는 문제로서 갈등이 발생할수 있었을 것이다.

우울증 환자가 가지는 일반적 분노라는 감정은 이 사이에 더욱 증폭될 가능성이 높을것 같다. 누구로 인하여 증폭하였는가. 그것은 그 옆사람들로 인하여 증폭하였다 이렇게 느낄 확율이 높을것 같다.

우울증이 무서운 병인것은 이 갈등의 양상이 지독하다는데 있는것 같다.
우울증 환자도 가족에 대해서 감정이 상해있고, 가족도 우울증 환자에 대해서 감정이 일정 정도 상해 있을수 있을것 같다.

우울증환자와 가족은 시간이 지남에 따라서 우울이라는 것이 어렵풋하게 나마 '슬프다'라는 우울이 아님을 알것이다. 분노 불안이 우울한 형태로 드러나는 것인데, 일반적으로 주위에서는 긍정적인 감정을 가져라로 위로한다.
'슬프다'라는 것은 긍정적인 감정으로 극복이 가능할수 있을것 같다.
그러나 분노나 불안이 오랬동안 쌓여서 우울한 형태로 드러나는 경우는 긍정적인 감정의 접근은 잘못되 접근이 될수도 있을것 같다.

우울증이라는 말속에서 우울이 '슬프다'를 의미하지 않을수 있다 라는 것을 빨리 알아야 할것 같다.

댓글 없음: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