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2년 1월 19일 목요일

감정의 평정심이 뇌의 작용을 안정시키지 않을까

우리가 일반적으로 몰입해 있을때 '미치다'라는 단어를 사용하곤 한다.
당구에 미치다. 바둑에 미치다. 영어에 미치다. 수영에 미치다. 사랑에 미치다.
정신이 이상하다 라는 측면에서 '미치다'라는 단어를 사용하는 것만 아니라 어떤대상에 대한 감정의 과잉상태 일때 '미치다'라는 단어를 상용한다.
무엇인가에 미쳤을때 바둑에 미쳤을때, 당구에 미쳤을때, 어떤 여자에 미쳤을때, 미친 대상과 비슷하게 생겼을때 비슷하게 생긴 대상이 바둑알, 바둑판으로 보이기도 하고, 당구공으로 보이기도 하고, 자신이 좋아 하는 여자로 보이기도 한다.
이것으로 유추 해보면, 어떤 대상에 대해서 감정이 과잉일때, 우리의 시각은 실제 보이는 것과 다르게 인식을 하기도 한다고 생각해볼수 있다.

현제 밝혀진 바로는(어디서 보았느데 어디서 보았는지 모르겠지만) 우리가 보는 대상은 사진처럼 있는 대상이 그대로 뇌에 세겨지는 것이 아니라, 사진처럼 세겨진 정보가 뇌로 보내진다고 한다. 그 정보의 전달 과정에서 그 정보들은 실제 보는 것과 다르게 왜곡이 되어질수도 있다고 한다. (사실 이것이 정확한지는 알수 없다. 사람이 본 것을 그대로 스크린으로 나타낼수 없기 때문에 여러 실험을 통해서 이러한 가설이 시각에 관해서 많을 부분을 설명을 해주기 때문 지지를 받지는지도 모를일이다.)

실제로 본것과 뇌가 인식한것이 감정 상태에 따라서 보는 것이 왜곡이 생길수 있으므로 눈으로 본것이 뇌로 전달될때 감정의 영향을 받는 것은 아닐까 하는 생각이 든다.

당구에 미쳐 있으면 어떤 대상이 당구공으로 보이는것이 우리가 보는 시각이 뇌로 전달될때 당구에 미쳐있다라는 감정에 영향을 받아서 그렇게 될수 있을것 같다.
이런 경우 대부분의 사람이 그럴수 있겠구나 하고 생각할수 있다.

무엇인가에 미쳐 있을때, 감정이 대상에 집중해있을 때는 구체적인 대상이 아닐수도 있다.
그 감정의 집중이 불안 일수도 있고, 공포일수도 있고, 슬픔일수도 있다.
그리고 잘못 본 것이 더울 두렵게 슬프게 불안하게 만들수 있을 것 같다.

잘못 본다라는 것이 지속되어 질때 이것은 문제로 느껴질수 있는데, 그원인은 과도한 감정의 집중이 계속 되고 있다라고 할수 있을것같다. 풀리지 못한 감정의 상태의 지속때문이지 않을까.
잠을 자면 꿈을 꾸는데, 눈과 귀가 작용을 하지 않고있어도 꿈속에서 보고 듣고 한다. 뇌에서 그림을 만들어 내는데, 그 꿈은 자신의 무의식적 감정의 상태에 따라서 악몽을 꾸기도 하고 길몽을 꾸기도한다.

우리 조상들이 항상 평정심을 강조 했는데, 감정의 평정심이 뇌의 정상작용을 도와서 세상을 바로 볼수 있게 한다는 것을 경험으로 알고 있었다는 생각이 든다.

댓글 없음:

댓글 쓰기